본문 바로가기

팝업레이어 알림

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.

국과관세협상타결을 올리며 백악관이 올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test 조회 4회 작성일 25-08-01 20:33

본문

한국과관세협상타결을 올리며 백악관이 올린 사진.


백악관 엑스 캡처 미국 백악관이 한국과 미국 간에 전날 타결된 무역 협정에 대해 “대단히 성공적”이라고 평가하며협상타결 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(왼쪽 다섯 번째)을 비롯한 미국 협상단과 한국 정부.


7월 31일 한국과 미국의관세협상이 타결됐다.


'최악을 막았다, 선방했다'는 평가도 있지만 이번협상은 애초에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트럼프의 동맹강탈, 주권침해.


[앵커] 한미 통상협상타결로 상호관세25% 부과라는 급한 불은 껐지만 아직 첩첩산중입니다.


반도체 품목관세도 아직 정리되지 않았고,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농산물 등 비관세 분야 압박이 거세질 수 있습니다.


일본과 유럽연합 수준인 15%로 낮췄습니다.


대신 우리는 미국에 3천5백억 달러, 거의 5백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.


관세협상결과를 오늘(31일) 집중 보도합니다.


[리포트] 막판협상이 될 거란 한미 재무 수장 만남에 앞서.


미국과의관세협상타결에 대해 야권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.


국민의힘과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은 15% 관세율을 지적하고 나섰다.


일본 등과 비교했을 때 대미 투자 금액이 국내총생산(GDP) 대비 높다는 이유에서다.


[앵커] 한미관세협상을 마무리한 대표단, 구윤철 경제부총리,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,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오늘 귀국합니다.


조금 뒤 취재진 앞에 모습을 드러낼 예정인데요.


협상과 관련해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관심입니다.


발표된 총 69개 국가·경제권역 중 42곳의 관세율이 지난 4월2일 대비 떨어졌다.


이는 미국이 상대국과의 무역수지를 계산하고,관세협상타결 여부 등 사항까지 반영한 결과다.


미국과 무역합의를 도출한 한국산 수입품의 상호관세율이 기존 25%에서 15%로 떨어진.


정부는 농산물 추가 개방에 대한 논의한 사실이 없다고 일축했지만,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SNS를 통해 "(한국은) 농산물 등을 포함한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.


해링턴스퀘어 산곡역


【 앵커멘트 】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과관세협상을 타결하지 못한 나라들은 '관세폭탄'을 받았습니다.


최대 50%에 이르는 고율의관세가 부과됐는데, 동맹국인 캐나다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.


한미관세협상타결을 끌어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,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관세협상단이 귀국했습니다.


구 부총리와 김 장관, 여 본부장 등관세협상단은 오늘(1일)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했습니다.

피오피프라자

주소 :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호국로 135

전화 : 02-2271-0988

팩스 : 031-829-0787

Copyrightⓒ2021 피오피프라자. All rights reserved.